맨위로가기

클로도베쿠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도베쿠스 1세는 481년부터 511년까지 살리 프랑크족의 왕이자 프랑크 왕국을 통일한 초대 국왕이다. 그는 수아송 전투에서 승리하여 갈리아 북부를 장악하고, 톨비아크 전투에서 알레만니족을 격파한 후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서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부예 전투에서 서고트족을 격파하고 아키텐을 차지했으며, 동로마 황제로부터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았다. 클로도베쿠스 1세는 프랑스 왕국의 기초를 세운 인물로 평가받지만, 사후 왕국 분할로 인한 분열의 씨앗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46년 출생 - 산음공주
    산음공주 유초유는 남송 효무제의 딸이자 전폐제 유자업의 누이로, 남편 하집에게 30명의 남첩을 하사받았으나 전폐제 암살 후 음란함을 이유로 사사되었다.
  • 서로마 제국의 집정관 - 리키메르
    리키메르는 5세기 서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지배자로서 게르만계 군사령관이었으며, 여러 황제를 꼭두각시로 내세워 권력을 행사하고 반달족과의 전쟁에서 활약했으나 안테미우스와의 갈등 끝에 사망하여 서로마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했다.
  • 서로마 제국의 집정관 - 발렌티니아누스 3세
    발렌티니아누스 3세는 서로마 제국의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을 받았으나 그의 치세는 서로마 제국의 쇠퇴기로 여러 위기를 겪고 암살당하며 혼란을 가중시켰다.
클로도베쿠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870년경 상아 책 표지의 클로비스 세례
클로비스의 세례, 870년경 상아 책 표지 세부 묘사
이름클로비스 1세
라틴어 이름클로도베쿠스
프랑크어 이름*흘로도비그
프랑스어 이름루이
출생466년경
출생지투르네, 서로마 제국 (현재의 벨기에)
사망511년 11월 27일 (약 45세)
사망지파리, 프랑키아
매장지원래 생트주느비에브 교회; 현재 생드니 대성당
종교초기 프랑크족 이교주의, 이후 칼케돈 기독교로 개종
통치
프랑크 왕재위: 481년경 – 509년
이전: 힐데리쿠스 1세
프랑크 왕재위: 509년경 – 511년 11월 27일
후임: 테우데리쿠스 1세(랭스)
클로도메르(오를레앙)
힐데베르트 1세(파리)
클로타르 1세(수아송)
가문
왕조메로빙거 왕조
아버지힐데리쿠스 1세
어머니튀링겐의 바시나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클로틸다
자녀잉고메르
클로도메르
힐데베르트 1세
클로타르 1세
클로틸다
테우데리쿠스 1세
기타
참고 문헌

2. 이름

증명된 형태를 바탕으로 원래 이름은 프랑크어로 *''Hlōdowik'' 또는 *''Hlōdowig''로 재구성되며, 두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전통적으로 간주된다. 이 이름은 원시 게르만어 '*hlūdaz'("유명한, 뛰어난")와 '*wiganą'("싸우다, 전투하다")에서 유래하며, 클로도베쿠스 1세의 이름을 "유명한 전사" 또는 "전투에서 유명한 자"로 번역하는 전통적인 관행을 낳았다.[5][6]

그러나 학자들은 투르의 그레고리가 첫 번째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메로빙거 왕족의 이름을 일관되게 'chlodo-'로 표기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레고리가 다른 게르만어 이름(예: 프레데군디스, 아르눌푸스, 군도바두스 등)에서 사용하는 예상되는 폐쇄 후방 원순 모음 (u) 대신 근중 후방 원순 모음 (o)을 사용한다는 것은 첫 번째 요소가 대신 원시 게르만어 '*hlutą'("몫, 부분")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열어두며, 이름의 의미를 "전리품을 가져오는 자" 또는 "약탈(을 가져오는) 전사"로 해석하게 한다.[7][8] 이 가설은 첫 번째 요소가 "유명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경우, 클로도메르(클로도베쿠스 1세의 아들 중 한 명)의 이름에 "유명한"을 의미하는 두 요소('*hlūdaz'와 '*mērijaz')가 모두 포함되게 되는데, 이는 전형적인 게르만어 이름 구조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라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

중세 네덜란드어에서 프랑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 이름은 'Lodewijch'로 표기되었다(cf. 현대 네덜란드어 ''Lodewijk'').[9][10] 이 이름은 서 게르만어에서 발견되며, 동족어로는 고대 영어 'Hloðwig', 고대 작센어 'Hluduco', 고대 고지 독일어 'Hludwīg'(변형 'Hluotwīg')가 있다.[5] 후자는 현대 독일어에서 'Ludwig'로 바뀌었지만, 클로도베쿠스 1세 자신은 일반적으로 Chlodwig로 불린다.[10] 고대 노르드어 형태 'Hlǫðvér'는 서 게르만어에서 빌려온 것으로 보인다.[5]

프랑크어 이름 '*Hlodowig'는 라틴어화된 형태 'Hludovicus'(변형 'Ludhovicus, Lodhuvicus' 또는 'Chlodovicus')를 거쳐 18명의 프랑스 왕이 사용한 프랑스 이름 ''루이''(변형 ''루도빅'')의 기원이다.[6] 영어 'Lewis'는 앵글로-프랑스어 'Louis'에서 유래했다.[11]

3. 생애

살리 프랑크족의 왕 킬데리크 1세를 아버지로, 그의 아내 바시나/Basina von Thüringende를 어머니로 하여 투르네 (현재 벨기에령)에서 태어났다.[62] 당시에는 오늘날의 프랑스·벨기에 국경 부근의 투르네, 캉브레를 중심으로 하는 라인강 저지대 서부에 불과했다.

클로비스는 481년경에 아버지의 지위를 계승했다.[63] 486년까지의 5년 동안은 알려진 바가 없다.[64] 486년에는 갈리아 북부를 지배하고 있던 수아송 관구의 시아그리우스를 수아송 전투에서 격파[65]하고, 판도를 일거에 루아르 강 북부로 확대[65]하여 로마 속주 벨기카 세군다를 지배하에 두었다.[66] 게다가 클로비스는 여동생 아우도프레드를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릭에게 시집보내 동맹을 굳건히 하고,[19] 493년에는 부르군트 왕국의 공주 클로틸드와 수아송에서 결혼했다.

496년부터 497년에 걸쳐, 톨비악 전투/Battle of Tolbiac영어에서 알레만니족에게 승리한 후, 왕비 클로틸드의 권유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67] 니케아파 기독교도인 클로비스는, 세례를 통해 가톨릭 신앙에 의존하는 권력 보유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이 개종은 게르만 민족 군주 중 최초로 이루어진 가톨릭으로의 개종이었다. 한편, 서고트족이나 반달족은 이미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그 종파는 아리우스파였다. 당시 갈리아 주민은 대부분 가톨릭이었기 때문에, 클로비스의 가톨릭 개종은 갈리아 영내의 로마 시민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것이었다. 클로비스는 496년부터 502년 사이에 개종 세례를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사료에서는 그 장소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9세기에 랭스 대주교 힝크마르가 세례 장소는 랭스라고 강력하게 주장했기 때문에, 레미기우스가 클로비스에게 세례를 주었다고 여겨지는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역대 프랑스 왕들의 대관식이 거행되는 곳이 되었다.

500년에는 디종에서 부르군트 왕국과 싸웠고, 507년에는 아르모리카인의 지원을 받아 부예 전투에서 서고트 왕 알라릭 2세를 격파했다. 이 승리로 기세를 올린 클로비스는 그대로 서고트 왕국의 수도 툴루즈까지 진군하여, 아키텐의 대부분을 획득했다.[68] 프랑크 왕국의 영토는 북해에서 피레네 산맥까지 크게 확장되었고, 남프랑스를 지배하던 서고트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로 밀려났다.

이 원정 후 508년, 클로비스는 동로마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로부터 "아우구스투스"의 칭호를 받았고,[69] 서로마 제국의 집정관에 취임했다.[70][71][72] 그 의식 날, 클로비스는 툴 교외에 있는 성 마르티누스 교회당에서 황제로부터 보내진 자색 의상을 입고, 황제로부터 보내진 관을 썼다.[71][73][69] 교회당을 나온 클로비스는 말을 타고, 앞뜰의 문에서 시내 중앙 교회로 이어지는 길을 주민들의 "콘술(집정관) 만세, 아우구스투스 만세"라는 환호에 맞이하며 행진했다.[69][73][74][75] 그리고, 이날부터 그는 콘술 또는 아우구스투스로 불리게 되었다.[74] 이, 완전히 로마적인 의식을 통해, 무력으로 획득한 갈리아 지배가 로마 제국의 최고 관직이라는 당시 유럽 최고의 권위에 의해 승인되었다.[76] 이 승인은 클로비스의 사후, 그의 아들과 황제 유스티니아누스와의 조약 형태로 더욱 공식적으로 선언될 것이다.[73] 이 사건들은 서로마 제국이 게르만인의 통치 하에서도 여전히 법제상으로나 당시 사람들의 의식상으로나 존속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77][70] 하지만, 클로비스에게 주어진 영예는, 황제와 양자 관계를 맺어 로마 제국으로부터 "카이사르"의 칭호가 주어졌던 동고트족의 왕 테오도릭과 비교하면, 아주 적은 것이었다.[80][81]

508년, 센 강 좌안에 성 베드로와 바울에게 헌정된 수도원 (후의 생트 주느비에브 수도원)을 세웠다. 그 유구는 지금도 팡테옹 근처에 클로비스 탑으로 남아있다.

클로비스는 만년에 프랑크 소왕들을 차례로 간계에 빠뜨려, 그 대부분을 말살했다. 그것으로 메로빙거 왕조는 다른 가계로부터 위협받지 않고, 300년 가까이 명맥을 유지했다고 한다.

클로비스는 511년11월 27일에 사망하여, 파리 북쪽 4킬로미터 정도의 도시, 생드니에 있는 생드니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그 유령은 프랑크인 특유의 재산 균등 분할 상속의 관습에 따라, 4명의 아들 테우데리크, 클로도메르, 킬데베르트, 클로타르에게 분할되었다. 프랑스인의 전통에 따르면, 파리에 도읍한 클로비스 1세는 프랑스 왕국의 기초를 세운 최초의 프랑스 왕이었다. 클로비스의 생애는 투르의 주교 그레고리우스가 상세한 연대기를 남기고 있다.

3. 1. 어린 시절과 가계

메로빙거 왕조의 군주로 살리 프랑크족의 왕(481년 ~ 511년)이자 통일 프랑크 왕국의 초대 국왕(486년 ~ 511년)이었다. 투르네를 중심으로 세력권을 구축한 왕 킬데리쿠스 1세와 튀링겐의 왕녀 바신느의 아들이다.[82] 힐데리히와 바신느 사이에서는 클로비스 외에 두 누이 아우도프레다와 난테힐데스가 태어났다. 그는 부계로는 시캄브리안 프랑크 부족으로 가계는 트로이의 폴리도로스와 헬레노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한편 그의 고조할머니 프로트문다는 셉티마니아 출신의 유대인이었다.

서로마 제국용병대장이기도 했던 부왕 힐데리히 1세는 튀링겐족과의 전투에서 튀링겐의 공주이자 왕비인 바신느를 사로잡아 아내로 삼았다. 클로비스 1세는 살리 프랑크족의 왕인 힐데리히 1세와 튀링기아 공주인 바시나의 아들이었다.[62]

유년시절의 클로비스의 자세한 행적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이는 그의 일대기를 최초로 저술한 투르그레고리우스의 기록에도 상세하기 기술되어있지 않다.[82] 다만 어려서 부왕을 따라 여러 소부족을 원정하는 전투에 참여하였다고 한다. 클로비스가 사용한 언어를 설명하는 1차 자료는 없지만, 역사 언어학자들은 그의 가족 배경과 주요 영토를 바탕으로 그가 고대 네덜란드어의 한 형태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3]

3. 2. 프랑크족 통일 이전

481년 부왕 킬데리히 1세가 죽은 뒤 프랑크족의 한 지파인 살리 프랑크계(系)의 장(長) 자리를 이어받았다.[63] 아버지의 지위를 물려받은 클로비스는 남하하여 갈리아 북부지방을 정복했다. 랭스의 레미기우스(성 레미) 주교가 쓴, 클로비스가 벨기카세쿤다의 행정 기관을 접수한 것을 축하하고 주교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라는 내용의 편지가 남아 있다.

갈리아의 로마인 왕국을 정벌하던 중 클로비스의 부하들이 랭스 교회에서 화려한 꽃병 하나를 강탈했고, 레미기우스 주교는 클로비스에게 꽃병을 천주교회에 되돌려달라고 간청했다. 수아송에서 전리품을 분배할 때 클로비스는 꽃병을 요구했으나, 어떤 프랑크족 장군이 이에 항의하여 도끼로 꽃병을 깨뜨려버렸다.[83] 클로비스는 깨진 꽃병을 주교에게 돌려주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1년 뒤 군사회의에서 클로비스는 자신에게 항명한 전사에게 무기를 제대로 손질하지 않았다고 나무라며 그의 도끼를 땅에 던졌다. 전사가 도끼를 집으려고 허리를 굽히자, 클로비스는 자신의 도끼로 그의 두개골을 쪼개면서 "너는 수아송에서 꽃병을 이렇게 다루었도다"라고 말했다.

486년 수아송 전투에서 북갈리아를 지배하던 로마 왕 시아그리우스를 격파하고 솜강(江)에서 루아르강(江)에 이르는 지역에 진출, 프랑크 왕국을 세웠다.[65] 투르네의 통치자였던 힐데리히 1세가 481년에 사망하고, 그의 어린 아들 클로비스가 뒤를 이었으며 그의 전사들은 아마도 500명이 넘지 않았을 것이다. 486년, 그는 자신의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친척인 라그나카르, 캉브레의 왕 그리고 또 다른 프랑크 왕인 칼라릭과 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삼두 정치는 시아그리우스를 상대로 진격하여 수아송에서 갈로-로마 사령관과 만났다. 전투 중 칼라릭은 전투에 참여하지 않아 동료들을 배신했다.[15] 이러한 배신에도 불구하고, 프랑크족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시아그리우스는 알라리크 2세의 궁정으로 도망치게 되었다. 이 전투는 이탈리아 밖의 서로마 제국의 잔존 국가의 종말을 가져온 것으로 여겨진다.[16] 전투 후 클로비스는 배신자 칼라릭의 영토를 침공하여 그와 그의 아들을 감금할 수 있었다.[15] 486년 경 클로비스 1세는 로마 제국을 멸망시키겠다고 공공연하게 협박할 만큼 세력이 커졌다.[84] 동로마 제국에서는 클로비스 1세를 콘술과 파트리키우스로 임명하는 것으로서 그를 회유하려 했다.

492년 부르군트의 부족왕 힐페리히 2세가 그의 동생뻘 되는 군도발트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왕비가 익살당하자, 클로틸드는 언니와 함께 부르군트에서 피신하여 클로비스 1세에게 의탁하였다. 클로비스는 이들을 받아들였고, 492년 겨울에서 493년 봄 사이에 클로틸드와 결혼했다. 그 뒤 튀링겐족을 정벌하고 서고트족에게서 영토를 빼앗았으며 전쟁·간계·살해 등으로 다른 살리계·리푸아리안 프랑크족의 소규모 부족장들을 차례로 살해하고 모든 프랑크족을 통일하였다.

3. 3. 프랑크족 통일 과정

클로비스 1세는 계략을 써서 사촌이자 잘리어족의 다른 군주들을 제거해 나갔다. 쾰른의 지게베르트 부자를 살해하고,[85] 살리 프랑크족의 왕 카라리크와 그의 아들을 속여 살해했다. 486년에는 캉브레족의 왕 라그나카르를 제거하고, 그의 동생 리카르와 망스를 통치하던 리고메르도 제거했다.

클로비스 1세의 정복 영토 (481년~511년)


클로비스 1세는 481년경 아버지 킬데리크 1세로부터 살리 프랑크족의 왕위를 계승했다.[63] 486년 수아송 전투에서 시아그리우스를 격파하고[65] 갈리아 북부를 장악했다.[65] 이후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릭 대왕과 동맹을 맺고,[19] 493년에는 부르군트 왕국의 공주 클로틸드와 결혼했다.

496년 톨비아크 전투에서 알레만니족에게 승리한 후, 클로틸드의 영향으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67] 이는 게르만족 군주 중 최초의 가톨릭 개종으로, 갈리아 지역 로마 시민과의 유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500년에는 디종에서 부르군트 왕국과 전투를 벌였고, 507년 부예 전투에서 서고트 왕국의 알라릭 2세를 격파하고 아키텐 대부분을 차지했다.[68] 508년에는 동로마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로부터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았다.[69]

3. 4. 프랑크 왕국 건국 이후

클로도베쿠스 1세는 프랑크 왕국 건국과 함께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였다. 496년 알라마니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왕비 클로틸드의 권유와 신의 가호에 대한 믿음으로 랭스 대성당에서 레미기우스에게 세례를 받았다. 이는 아리우스파를 믿던 다른 게르만 부족들과 달리 로마 교황과의 우호 관계를 맺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가톨릭 주교들로부터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동로마 제국에는 형식적으로 복종하는 태도를 취하며 집정관 직위를 받았다.

클로도베쿠스 1세는 알레만족과 부르군트족을 굴복시키고, 507년 부예 전투에서 서고트 왕국의 알라릭 2세를 격파하여 아키텐 지역을 병합했다.[19] 이 전투 이후 비잔틴 제국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클로도베쿠스 1세에게 귀족과 명예 집정관 지위를 부여했다.[20]

509년, 클로도베쿠스 1세는 쾰른의 지고베르트 왕을 살해하도록 그의 아들 클로도릭을 매수하고, 이후 클로도릭을 처형하여 왕위를 차지했다. 또한 차라릭과 라그나카르 등 다른 프랑크 왕들을 제거하여 권력을 공고히 했다.[15][21]

클로도베쿠스 1세는 살리카 법전을 성문화하고, 갈로로마계 귀족과 성직자를 등용하여 로마 행정조직을 도입하는 등 프랑크 왕국 발전의 기틀을 다졌다. 오를레앙 종교회의를 소집하여 가톨릭 전교를 장려하고 주교들로부터 충성 서약을 받았다.

511년 클로도베쿠스 1세가 사망한 후, 왕국은 살리카 법에 따라 네 아들에게 분할 상속되었다.

511년 클로비스 사망 당시 프랑크 왕국 영토

3. 5. 죽음과 분할

클로비스 1세는 511년 11월 파리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왕국은 살리카 법에 따라 네 아들에게 분할 상속되었다.[22] 왕국은 테오데리크, 클로도메르, 힐데베르트, 클로타르에게 분할되었고, 이 분할로 랭스, 오를레앙, 파리, 수아송 왕국이라는 새로운 정치적 단위가 생겨났다.[22] 이러한 분할 상속은 메로빙거 왕조가 끝날 때까지 지속되는 분열의 전통을 낳았으며,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도 계속되었다.[22] 샤를마뉴 치하에서 잠시 통일된 후 프랑크족은 동부와 서부의 왕권 중심으로 분열되어 문화적 영향력의 독특한 영역으로 나뉘었다.

클로비스는 죽기 직전 오를레앙에서 갈리아 주교 회의를 소집하여 교회 개혁과 왕실-가톨릭 주교 간의 강력한 유대 관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것이 오를레앙 공의회이며, 33명의 주교가 참석하여 개인의 의무, 성역의 권리, 교회 징계에 관한 31개의 법령을 통과시켰다. 이 법령은 프랑크족과 로마인에게 동등하게 적용되어 정복자와 피정복자 사이의 평등을 처음으로 확립했다.

클로비스는 파리의 생트 주느비에브 수도원에 안장되었으며,[22] 그의 유해는 18세기에 생 드니 대성당으로 이장되었다. 클로비스는 고정된 수도가 없었고 중앙 행정 조직도 없었지만, 파리에 묻히기로 결정함으로써 파리에 상징적 무게를 부여했다.[22] 그의 손자들이 왕권을 분할했을 때 파리는 공동 재산으로 유지되었고 왕조의 고정된 상징이 되었다.[22]

클로비스의 네 아들 사이에서 프랑크 왕국을 분할하는 클로틸데, ''생드니 대연대기''(툴루즈 시립 도서관)

4. 종교 정책

클로도베쿠스 1세는 이교도로 태어났으나, 성부와 예수가 별개의 존재라고 믿는 아리우스파 기독교에 관심을 가졌다.[23] 이는 니케아 기독교와 대조를 이룬다. 당시 게르만 이교 고트족은 아리우스파 기독교로 개종한 상태였고, 클로도베쿠스 1세의 아내 클로틸드는 부르군트족 공주이자 니케아 기독교인이었다.[23] 클로틸드의 끈질긴 설득으로 클로도베쿠스 1세는 니케아 기독교로 개종하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저항이 있었다.[23][24] 클로틸드는 클로도베쿠스 1세 몰래 아들을 세례받게 했으나, 아들이 곧 죽자 클로도베쿠스 1세의 개종에 대한 저항은 더욱 커졌다.[24] 두 번째 아들도 세례 후 병에 걸렸지만, 결국 클로도베쿠스 1세는 508년 크리스마스에 랭스 인근의 작은 교회에서 니케아 기독교(가톨릭)로 개종했다.[4][25]

생드니 생드니 대성당에 있는 클로비스 1세의 묘


클로도베쿠스 1세의 니케아 세례는 서유럽과 중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가톨릭 신앙은 클로도베쿠스 1세가 서유럽의 경쟁 권력 중심지에서 자신의 통치를 돋보이게 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서고트족과 반달족 등 다른 게르만 왕들이 아리우스파 기독교로 개종한 것과 달리, 클로도베쿠스 1세의 니케아파 기독교 개종은 그를 차별화했다. 하지만 클로도베쿠스 1세는 최초의 게르만 왕으로서 니케아 기독교로 개종한 것은 아니었고, 수에비의 갈리시아 왕국 레키아르가 그보다 먼저 개종했다.[26] 클로도베쿠스 1세의 가톨릭 신앙 수용은 507년 서고트족과의 전투에서 가톨릭 갈로-로마 귀족들의 지지를 얻는 데 기여했고, 많은 백성이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27]

버나드 바크라흐는 클로도베쿠스 1세의 이교에서 개종이 다른 프랑크족 부왕들을 소외시키고 군사적 지위를 약화시켰다고 주장했다. 투르의 그레고리는 클로비스가 버린 게르만 신들에게 유피테르와 메르쿠리우스와 같은 로마 신들의 이름을 부여했다.[28] 윌리엄 데일리는 클로도베쿠스 1세의 야만적이고 이교적인 기원을 직접적으로 평가하며,[29] 6세기의 vitala of 성 제네비에브와 주교들의 편지, 테오도리크 대왕을 기반으로 설명을 구성했다.

클로도베쿠스 1세와 그의 아내는 파리의 생트 주느비에브 수도원에 묻혔다.[30]

5. 평가

프랑크족의 역사가인 투르의 그레고리우스 주교는 그를 제2의 콘스탄티누스 대제로 표현하고자 했다.[86] 클로비스는 영웅적인 이방인 족장으로 출발하여, 갈리아의 로마인들에게 통치자로 받아들여졌으며,[86] 생전에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얻어 사실상 황제로 인정받기도 했다. 클로비스 1세의 정복으로 이루어진 프랑크 왕국은 로마 갈리아의 대부분과 서부 독일 일부를 포함했으며, 그의 사후에도 오래도록 존속되었다.[32] 많은 프랑스인들에게 그는 현대 프랑스 국가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클로비스 1세는 국가 분할 상속이라는 부정적인 유산을 남기기도 했다. 이는 민족이나 지리적 경계에 따른 것이 아니라, 주로 그의 사후 아들들 간의 동등한 수입을 보장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 분할은 갈리아 내 많은 내부 갈등의 원인이 되었고, 장기적으로 그의 왕조 멸망으로 이어지는 선례가 되었다.[33] 그러나 클로비스는 상속자들에게 백성과 교회의 지지를 물려주었으며, 마그나트들이 왕가를 없애려 할 때 교황의 승인을 먼저 구해야 했다.

후세기에 클로비스는 프랑스에서 성인으로 숭배받았다. 베네딕토회 생 드니 대수도원과 파리의 생트 주느비에브 수도원에 성 클로비스의 성해가 안치되었고,[37][38] 모아삭 수도원의 역사가는 수도원이 성 클로비스에 의해 세워졌다고 주장했다.[39] 타라스콩의 생 마르트 교회와 생 피에르 뒤 르 도라에도 클로비스에게 헌정된 성해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38][40] 보니파체 시모네타, 자크 알맹과 파울루스 에밀리우스 베로넨시스는 클로비스의 삶에 대한 성인 전기를 썼다.[40]

프랑스 국가가 남부에서 클로비스 숭배를 장려한 이유는 옥시타니아인들이 북부 주도의 프랑스 국가를 숭배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40] 또 다른 이유는 클로비스가 발루아 왕가에게 더 선호되는 건국 인물이었기 때문일 수 있다.[41] 성 클로비스 숭배는 주로 북부에서 지원된 운동이라는 이론과 대조적으로, 에이미 굿리치 렘엔스나이더는 성 클로비스가 옥시타니아인들에 의해 군주제에 대한 북부의 개념을 거부하고, 성인에 의해 부여된 자율성을 회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39]

성 클로비스는 경건한 프랑스의 루이 9세보다 더 군사적인 왕실 성인의 역할을 했다.[47] 성인으로서 클로비스는 국가의 영적인 탄생을 대표하고, 프랑스 정치 지도자들이 따라야 할 기사도적이고 금욕적인 모델을 제공했기 때문에 중요했다.[46] 성 클로비스 숭배는 프랑스에만 국한되지 않았는데, 레온하르트 베크가 만든 합스부르크 군주국을 위한 목판화에는 클로비스를 성 클로도베우스로 묘사했으며,[42] 뮌헨의 성 보니파체 수도원은 성 클로도베우스를 그의 옹호 때문에 모범으로 삼을 가치가 있는 성인으로 묘사했으며,[43] 피렌체 바로크 화가 카를로 돌치는 우피치 미술관의 황실 아파트를 위해 성 클로비스를 대대적으로 묘사한 그림을 그렸다.[44][45]

성 클로비스는 공식적인 시성이 알려져 있지 않으며, 복자로도 추대되지 않았으므로 그의 성인성은 오직 대중적인 칭송에 의해서만 인정받았다.[46] 생트 주느비에브 수도승들의 예를 따라 프랑스에서 성 클로비스의 축일은 11월 27일에 열렸다.[34] 성 클로비스는 프랑스 왕실 당국으로부터 프랑스 이외의 다른 국가 또는 왕조의 성인들이 거의 받지 못한 지속적인 캠페인을 받았다.[47] 프랑스 군주들은 늦어도 14세기부터 여러 차례 클로비스를 공식적으로 시성하려 했다.[48] 가장 주목할 만한 시도는 루이 11세가 이끌었고 루이 9세의 성공적인 시성 캠페인을 모델로 한 것으로, 부르고뉴인과의 분쟁 중에 발생했다.[49] 클로비스의 시성 문제는 17세기에 다시 제기되었는데, 예수회의 지원, ''성인 전기''와 사후 기적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며, 클로비스를 잔혹하고 피에 굶주린 왕으로 묘사한 칼뱅주의 목사 장 드 세르의 논쟁적인 역사 작품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48]

예수회가 클로비스를 공식적으로 시성하려는 시도는 16세기에 클로비스의 ''숭배''가 재발견된 이후에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성 클로비스가 현대 프랑스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이중적인 역할은 깊이 죄를 지었지만 하나님의 뜻에 순종함으로써 성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갈리아주의 교회의 창시자라는 점이 명확해졌다.[50] 그는 또한 본질적으로 신비로운 명성을 얻었다.[50] 오를레앙 공의회를 소집하는 데 있어서 성 클로비스의 역할은, 그가 교황의 권위 없이, 자신과 그의 주교들이 프랑크족에게 구속력이 있는 공의회를 소집할 권한이 있다는 이해를 가지고 그것을 소집했기 때문에 강력한 갈리아주의적인 것으로 이해되었다.[50] 프로테스탄트 갈리아주의자들에게 성 클로비스는 교회를 다스리고 그 남용을 억제하는 군주제의 역할을 나타냈고, 그의 시대의 교황과 긍정적으로 대조되었다.[50] 프로테스탄트들은 성 클로비스에게 기인하는 기적에 대해 언급할 가능성이 낮았고, 심지어 그 존재에 대한 긴 반박문을 쓰기도 했다.[50] 대신 그들은 그의 성인성이 로마보다 더 거룩하고 기독교적인 국가를 창조한 데서 분명하다고 보았다.[50]

16세기의 가톨릭 작가들은 성 클로비스의 기적 목록을 확장했지만, 17세기 초에는 그의 성인 전기의 기적적인 요소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시작했다.[50] 17세기 중후반의 예수회 작가들은 이러한 경향에 저항했고, 성 클로비스의 삶이나 그의 성인성의 기적적인 본질에 대해 의심의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50] 예수회 작가들은 그의 성인 전기와 그와 관련된 다른 성인들의 성인 전기의 극단적인 요소를 강조했으며, 심지어 성 레미가 500년 동안 살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50] 이러한 성인 전기는 1896년 그의 세례 14주년 기념 행사에서 카디널 랑제니의 연설에서 볼 수 있듯이 널리 인용되고 믿어졌다.[50] 성 클로비스 숭배의 부활을 이끈 또 다른 요인은 스페인 군주국이 가톨릭 군주라는 칭호를 사용한 것이었는데, 프랑스 군주들은 훨씬 더 이전의 성 클로비스에게 그 칭호를 귀속시킴으로써 그 칭호를 찬탈하고자 했다.[50]

5. 1. 현대 프랑스와의 관계

6. 연표


  • 466년경: 프랑크족의 왕자로 태어남[51][52]
  • 481년경: 15세의 나이로 살리 프랑크족의 왕이 됨[51][53]
  • 486년경: 수아송 전투에서 로마의 장군 시아그리우스를 격파함[51][53]
  • 491년경: 투링기족 정복.
  • 496년경: 톨비아크 전투에서 알라만니족을 격파함[51][53]
  • 506년경: 알라만니족을 재차 격파하고 알레만니아를 병합함.
  • 507년경: 프랑크-서고트 전쟁에서 서고트족을 격파하고 부예 전투에서 승리함. 이 전투 이후 파리를 수도로 삼음[53][56]
  • 508년경: 가톨릭으로 개종. 파리가 수도로 선출됨[4][55][51][56]
  • 509년경: 시고베르트와 라그나차르를 살해하고 모든 프랑크족을 통합함.[53]
  • 511년: 오를레앙 공의회 소집.[57]
  • 511년 11월 27일경: 파리에서 사망[1], 생트-주느비에브 수도원에 안치됨.

참조

[1] EB1911 Clovis
[2] 서적 The Rise of Western Christendom Blackwell Publishing Ltd.
[3] 서적 General [[Charles de Gaulle]] is cited (in the [https://books.google.com/books?id=5_kwAQAAIAAJ&q=%22commence+avec+Clovis%22 1965 biography] by [[David Schoenbrun]]), as having said "For me, the history of France begins with Clovis, elected as king of France by the tribe of the Franks, who gave their name to France. Before Clovis, we have Gallo-Roman and Gaulish prehistory. The decisive element, for me, is that Clovis was the first king to have been baptized a Christian. My country is a Christian country and I reckon the history of France beginning with the accession of a Christian king who bore the name of the Franks."
[4] 간행물 Dating the baptism of Clovis: the bishop of Vienne vs the bishop of Tours https://www.academia[...] 1998-03
[5] 서적 Altnordisches Etymologisches Worterbuch Brill 1962
[6] 간행물 Naming as Instrument of Strengthening of the Dynastic Power in the early middle Ages (France, England, Vth –XIth Centuries) http://www.ijese.net[...] 2016
[7] 문서 Julius Pokorny (1959),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Bern.
[8] 웹사이트 Nederlandse Voornamenbank https://www.meertens[...] Meertens Institute
[9] 웹사이트 "Nederlandse Voornamenbank, ''Lodewijk''" http://www.meertens.[...] Meertens Instituut
[10] 서적 Wörter und Namen gleicher Herkunft und Struktur: Lexikon etymologischer Dubletten im Deutschen Walter de Gruyter 2004
[11] 웹사이트 Lewis https://www.etymonli[...]
[12]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Middle Ag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3] 문서 Jelle Stegeman: Grote geschiedenis van de Nederlandse taal, Amsterdam 2021, §3.1.1.1.
[14] 문서 Einhard, Vita Karoli 25. & Janet Nelson: King and Emperor. London 2019, pp. 68.
[15]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13
[16] 서적 Encyclopedia of barbarian Europe ABC-CLIO 2003
[17] 문서 The abbey was later renamed [[Sainte-Geneviève Abbey]], in honor of the [[patron saint]] of Paris, and was demolished in 1802. All that remains is the "Tour Clovis", a Romanesque tower that now lies within the grounds of the [[Lycée Henri-IV]], just east of [[The Panthéon]], and the parish Saint-Étienne-du-Mont, which was built on the abbey territory.
[18] EB1911 Clotilda, Saint
[19] 웹사이트 Iron Age Braumeisters of the Teutonic Forests http://beeradvocate.[...]
[20] 서적 The Battle of Vouillé, 507 CE: Where France Began De Gruyter 2012
[21] 서적 The Ethnology of Germany https://books.google[...]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1884
[22] 서적 France in the World: A New Global History 2019
[23] 서적 The Merovingian Kingdoms Longman 1994
[24] 서적 Readings in Medieval History: Gregory of Tours History of the Franks Broadview Press Ltd.
[25] 서적 Gender and Conversion in the Merovingian Era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97
[26] 서적 Visigothic Spain: new approaches [papers read at Clarendon press 1980
[27] 서적 Readings in European History
[28] 문서 Gregory of Tours: Life of the Fathers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85
[29] 문서 "Clovis: How Barbaric, How Pagan?" 1994-07
[30] 서적 Readings in Medieval History: Gregory of Tours History of the Franks Broadview Press Ltd.
[31] 서적 Readings in Medieval History:Rome Law Broadview Press Ltd.
[32] 웹사이트 Clovis I, King of the Franks, r. 481–511 http://www.historyof[...] 2013-01-01
[33] 문서 "The Rise of the Carolingians or the Decline of the Merovingians?" http://www.uq.edu.au[...]
[34] 문서 L’invention du "roi fondateur" à Paris au XIIe siècle : de l’obligation morale au thème sculptural. 1997
[35] 문서 Notiziario ragionato del Sacro Regio Consiglio e della Real Camera di s. Chiara
[3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37] 논문 In Search of the Scottish Royal Mausoleum at the Benedictine Abbey of Dunfermline, Fife: Medieval Liturgy, Antiquarianism, and a Ground-Penetrating Radar Pilot Survey, 2016–19.
[38] 간행물 La part du Midi dans la naissance de la nation française: Beaune (Colette), Naissance de la Nation France, Paris, Gallimard, Bibliothèque des Histoires, 1985. Privat 1987
[39] 서적 Remembering Kings Past: Monastic Foundation Legends in Medieval Southern France
[40] 논문 «Qu'est-ce qu'une nation?» La réponse médiévale française. 1986
[41] 논문 Saint Louis IX and Holy Roman Emperor Frederick III. 2015
[42] 웹사이트 Print; book-illustration https://www.britishm[...]
[43] 서적 Das Königreich Bayern in seinem alterthümlichen, geschichtlichen, artistischen und malerischen Schönheiten, in einer Reihe von Stahlstichen mit begleitendem Texte Georg Franz 1854
[44] 서적 The Reminiscences of an Old Traveller Throughout Different Parts of Europe
[45] 서적 Bradshaw's companion to the Continent
[46] 서적 The God of Modernity: The Development of Nationalism in Western Europe
[47] 서적 English Identity and Political Culture in the Fourteenth Century
[48] 논문 Le baptême de Clovis aux XVIIe et XVIIIe siècles. 1998
[49] 서적 Le Mystere de Saint Remi
[50] 논문 "Le christianisme de Clovis aux XVI e et XVII e siècles." 1996
[51] 서적 The Battle of Vouillé, 507 CE: Where France Bega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2
[52] 서적 Cemeteries and Society in Merovingian Gaul: Selected Studies in History and Archaeology, 1992-2009 https://books.google[...] BRILL 2010
[53] 서적 Book II https://sourcebooks.[...]
[54] 서적 The Battle of Vouillé, 507 CE: Where France Bega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2
[55] 서적 AD 508 Source Book https://books.google[...] TEACH Services, Inc. 2011
[56] 서적 France in the World: A New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Other Press, LLC 2019
[57] 서적 Obituaires de la province de Sens https://gallica.bnf.[...] 1902
[58] 서적 The Iron Crown and Imperial Europe https://books.google[...] G. Mondadori 1999
[59] 서적 Early Medieval Europe, 300-1000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7
[60] 문서 ラテン語表記の'''クロウィス'''({{lang|la|Clovis}})、ラテン語では'''クロドウェクス'''({{lang-la|Chlodovechus}})、フランス語のクロヴィス、または[[古高ドイツ語]]および[[中高ドイツ語]]表記の'''クロードヴェヒ'''、'''クロートヴィヒ'''({{lang|goh|Chlodowech, Chlodwig}})と長音される表記もみられる。現代[[フランス語]]の[[ルイ (曖昧さ回避)|ルイ]]({{lang|fr|Louis}})、現代[[ドイツ語]]の[[ルートヴィヒ (曖昧さ回避)|ルートヴィヒ]]({{lang|de|Ludwig}})に当たる。
[61] 문서 各社の高校世界史関連の教科書・参考書、一般書など
[62]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pp.26-32。
[63] 문서 프랑스사、p.136-137。
[64] 문서 장2009、p.18。
[65] 문서 프랑스사、p.137。
[66]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p.42。
[67]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p.81。
[68] 문서 프랑스사、p.137-138。
[69] 문서 이가라시2003、pp.328-329。
[70] 문서 프랑스사、p.138。
[71]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
[72] 문서 아우구스투스는 집정관 경험자로부터 선발되거나, 아우구스투스가 됨과 동시에 집정관에 취임하는 것이 전통이었다.
[73] 서적 로마 제국 쇠망사 이와나미 서점
[74]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
[75] 서적 서구 중세사 사전Ⅱ 황제와 제국 미네르바 서방
[76] 간행물 Die Erbens des Imperiums P.M. History 2018-09
[77] 백과사전 브리타니카 국제 대백과사전 TBS 브리타니카
[78] 서적 유럽 세계의 탄생 창문사
[79] 서적 동고트 흥망사 동서 로마의 갈림길에서 하쿠스이사
[80]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
[81] 문서 R.ミュソ=グラール
[82] 문서 투르의 그레고리우스는 클로비스 1세 사후 100년 뒤에 태어난 인물이다.
[83] 문서 프랑크족의 관습에는 국왕이라도 부하 장군들의 전리품을 함부로 차지할 수 없었다.
[84] 서적 인류 이야기 서해문집
[85] 문서 게네발드의 증손녀(게네발드-다고베르-클로디오-빌리신드)인 빌리신드(Blesinde of the FRANKS)와 리푸아리안의 테오데미르 사이에서 태어났다. 쾰른의 지게베르트는 다시 자신의 외조부 클로디오의 아들 마르코미르의 손녀(마르코미르-클로도비크(콜로네)-아말베르가)인 아말베르가와 결혼하여 아들 클로데리히(Chlodoric the Parricide), 카라리크(Chararic)를 두었다.
[86] 웹사이트 클로비스 1세 -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